구글 애널리틱스 4 (GA4)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활용 방안에 이어 오늘은 구글 애널리틱스 4 에서 쓰이는 몇 가지 중요 용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애널리틱스의 보고서, 탐색 분석, 잠재고객 및 세그먼트(Segment:필터 개념) 등의 작성 도구에 표시되는 측정기준 및 측정항목에 대해 알아봅니다.
애널리틱스 데이터는 크게 측정기준(dimensions)과 측정항목(metrics)으로 나뉩니다. 측정기준은 데이터의 속성을 의미하며, 측정항목(metrics)은 합계, 비율, 시간 또는 금액 등으로 측정될 수 있는 양적 측정 요소를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지표라고 부릅니다.
측정기준(dimensions:디멘션) 알아보기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각기 개별 가치를 가질 수 있는 개별 고객들의 속성 및 특징을 말합니다.
소스 (source)
내 웹사이트(블로그 등)로 트래픽을 보낸 검색엔진 또는 사이트의 도메인을 의미합니다.
예시: youtube, naver, google, daum, facebook, instagram 등
매체 (medium)
웹사이트로 유입되는 경로 및 자연&유료 검색과 추천 등 소스의 카테고리를 의미합니다.
별도의 설정 없이 자동으로 분류되는 매체는 직접(none), 추천(referral), 자연검색(organic) 세 가지입니다.
예시: organic, referral, cpc, email, display, social 등
직접 (direct)
브라우저에 URL를 직접 입력하거나 북마크를 사용해서 유입된 트래픽을 의미합니다.
보다 정확한 정의는 리퍼러(referrer)가 없는 트래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추천 (referral)
검색엔진의 검색 결과에 표시된 링크를 제외하고 특정 웹사이트에서 다른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통해 유입된 트래픽을 의미합니다.
예시: 네이버 블로그/티스토리 블로그, 네이버카페, 언론사 웹사이트 등
캠페인 (campaign)
웹사이트 운영자 지정한 마케팅 캠페인 이름을 뜻합니다. 사용자가 유입되는 광고 캠페인, 검색엔진, 소셜 네트워크 등을 통칭하여 캠페인이라고 합니다.
예시: retargeting, brand/keyword search, product launching, spring sale 등
자연 검색 (organic)
구글, 네이버, 다음, 빙 등 검색 엔진의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링크를 클릭하여 내 웹사이트(블로그)로 유입된 트래픽을 의미합니다.
수동 검색어 (term)
광고 캠페인에서 utm_term 매개변수로 등록된 검색어를 말합니다. 검색 광고를 통해 방문한 사용자가 검색한 검색어를 의미해요.
수동 광고 콘텐츠 (content)
광고 캠페인 utm_content 매개변수로 등록된 콘텐츠 값으로 비슷한 콘텐츠 또는 링크를 구분하는데 사용됩니다.
예시: 광고 게재 위치, 배너 광고 사이즈 등
기본 채널 그룹 (default channel grouping)
소스, 매체 등의 규칙을 기반으로 자연 검색, 직접 등 가장 일반적인 트래픽 소스를 그룹화한 것을 의미해요.
예시: Direct, Organic Search, Paid Search, Referral, Display, Social 등
사용자 획득 (user acquisition)
사용자가 처음 방문했을 때(first_visit 이벤트가 발생한 때)의 유입경로를 의미합니다.
트래픽 획득 (traffic acquisition)
사용자의 첫 방문과 재방문을 모두 포함하여 사용자가 방문했을 때(session_start 이벤트가 발생한 때)의 유입경로를 의미합니다.
측정항목(Metrics:메트릭스) 알아보기
메트릭스는 디멘션의 개별 요소로서 숫자로 표기되는 데이터를 말합니다. 흔히 지표라고 부릅니다.
사용자 (users)
내 웹사이트에 순 방문자 수를 의미합니다.
페이지뷰 수 (pageviews)
방문자가 페이지를 본 횟수를 의미하며, 새로고침(F5)을 눌러도 중복 카운팅 됩니다.
새 사용자 수 (new users)
내 웹사이트에 처음으로 방문한 사용자의 수 (first_visit 이벤트가 트리거된 수)를 의미합니다.
세션수 (sessions)
session_start 이벤트가 트리거된 수를 의미합니다. 세션은 일정 기간 동안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유저가 참여한 활동 횟수를 말합니다.
- 30분 이내에 이탈하면 1세션
- 30분이 지나면 세션이 종료되고 1세션 추가 (GA캐시가 남아있으면 카운팅 X)
- 오전 12시가 되면 세션종료로 넘어가면 1세션이 추가
참여 세션수 (engaged sessions)
10초 넘게 지속되었거나, 전환 이벤트가 1회 이상 발생했거나, 페이지 조회수가 2회 이상인 세션 수를 의미합니다.
참여율 (engagement rate)
사용자가 참여한 세션의 비율입니다.
산출 방법: 참여 세션수 / 세션수
이탈률(반송률) (bounce rate)
접속한 페이지에 머물다가 나가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중요하게 보아야 할 지표로,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의 평가를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방문자가 하나의 페이지(단일 페이지)만 보고 바로 나가는 경우가 여기에 속합니다.
산출 방법
1 – 참여율 OR 참여하지 않은 세션수(= 이탈 세션수) / 세션수
사용자당 참여 세션수 (engaged sessions per user)
사용자당 평균 참여 세션 수를 의미합니다.
산출 방법
참여 세션수 / 사용자 수
평균 참여 시간 (average engagement time)
웹사이트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된 상태로 있었던 평균 시간을 의미합니다.
세션당 평균 참여 시간 (average engagement time per session)
각 세션 동안 웹사이트가 브라우저 화면에 표시된 상태로 있었던 시간을 의미합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노출하고 있다면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이벤트 수 (event count)
사용자가 이벤트를 트리거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콘텐츠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개발자가 따로 코드를 삽입하거나 태그매니저를 사용하여 이벤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세션당 이벤트 수 (events per session)
세션당 평균 이벤트 수를 의미합니다.
산출 방법
이벤트 수 / 세션 수
전환수 (conversions)
사용자가 전환 이벤트를 트리거한 횟수를 의미합니다. 목표한 페이지에 도착하거나 구매가 이뤄지는 등 계획한 결과에 도달하는 정도로 보면 됩니다.
세션 전환율 (session conversion rate)
전환한 세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산출 방법
전환이 발생한 세션수 / 총 세션수
사용자 전환율 (user conversion rate)
전환한 사용자의 비율
산출 방법
전환 액션을 수행한 사용자 수 / 총 사용자 수
총 수익 (total revenue)
구매, 인앱 구매, 정기 결제 및 광고 수익에서 발행한 총 수익을 의미합니다.
평생 가치 (lifetime value, LTV)
웹사이트에서 구매로부터 발생한 총 수익을 의미합니다.
조회수 (views)
웹페이지/앱화면을 조회한 횟수입니다. 한 페이지를 반복해서 조회한 횟수도 집계에 포함됩니다.
사용자당 조회수 (views per user)
사용자가 조회한 평균 웹페이지/앱화면 수를 의미합니다.
측정항목 사용 가능 단위
일반, 통화, 피트, 마일, 미터, 킬로미터, 밀리초, 초, 분, 시간
[REFERENCE]
0 Comment to "구글 애널리틱스 4 (GA4) 용어 정리 : 측정기준(dimensions)과 측정항목(metrics)"
댓글 쓰기